Le compositeur et poète BYUN Kyu-Baik
vient de nous quitter.
Je l’avais rencontré pour la première fois devant la tombe du poète Kong-tcho (공초) qui se trouve à Suyuri à Séoul.
En compagnie du poète Kousang (구상) nous célébrions également chaque année un rite religieux au temple de Dongdaemun pour lui rendre hommage. Nous étions ainsi devenus très amis.
Le poète Kousang faisait une fois par an une lecture de poèmes devant le tombeau de Kongtcho à Suyuri. Il joua aussi un rôle important pour le développement de la littérature poétique par le biais de lectures de poèmes une fois par mois. L’un après l’autre, les poètes membres de ce cercle quittèrent et le cercle des poètes disparut.
Par la suite le compositeur BYUN Kyu-Baik devint professeur à l’univeristé bouddhiste Joong-Ang Sangha où il enseignait les hymnes religieux aux moines et aux élèves.
La rencontre avec le compositeur BYUN Kyu-Baik fut pour moi une grâce du destin, mais notre séparation me donne le sentiment de le laisser partir comme un bateau sur la mer où il n’y a personne.
La vie a vraiment une nature transitoire et ce départ représente peut-être tout simplement pour lui un nouveau chemin. Mais c’est un chemin qu’il doit désormais parcourir seul.
Bien que je connaisse le caractère éphémère de notre existence et le coté imprévisible de la vie, je ne peux m’empêcher de chercher à comprendre la raison de son départ en plein milieu de cet hiver et ne peux me résoudre à le laisser partir sans parler de lui.
Là-haut, il peut enfin retrouver les poètes Kongtcho, Kousang, Park Heejin,
Joung-kwang-Keollae. L’âme du compositeur BYUN Kyu-Baik libérée de son corps et de toute souffrance peut maintenant jouir du bonheur sans fin.
Le compositeur BYUN Kyu-Baik est venu en ce monde à l’époque où ce pays était unifié. Je reste persuadé qu’il était un compositeur pour le peuple, tel un héros de notre époque, partageant ses joies et ses épreuves.
Demeurant à Ilsan, BYUN Kyu-Baik composait des morceaux de musique populaire. Il répondait toujours avec joie aux demandes du Comité des Droits de l’Homme dans le pavillon principal du temple bouddhiste de Joggyesa de l’ordre bouddhique de Joggye de Corée. Par contre il ressentait toujours une certaine aversion pour l’hymne national actuel composé par des antinationaux pro-japonais.
BYUN Kyu-Baik a quitté ce monde, mais son âme de compositeur nous a laissé des œuvres mémorables, aussi j’ai la certitude qu’il sera toujours très actif, pour participer à sa manière à la restauration de l’unité de la nation.
N’ayant pas de grand pouvoir et n’exerçant aucune haute fonction dans le monde bouddhiste en Corée, j’éprouve un sentiment de regret de ne pouvoir le réconforter suffisamment. Je souhaite lui exprimer mon désir de chanter ses
œuvres du plus profond de mon cœur. De nos jours, alors que beaucoup de gens quittent ce monde à l’âge de quatre-vingt-dix ans en moyenne, je regrette sincèrement son départ à l’âge de soixante-treize ans.
Devant l’autel dressé à la mémoire du compositeur BYUN Kyu-Baik,
Me tenant debout à l’entrée du chemin où souffle le vent,
Je regarde par inadvertance la colline
Samgaksan semblable à une fleur que je porte dans mon cœur,
Telle une demi-lune suspendue au-dessus de la colline lointaine.
En ce jour mes derniers mots de condoléance s’élèvent
Comme un arc-en-ciel au firmament après la pluie.
Pour le jour où l’on chantera la majesté du Mont Baikdusan
Un unique et grand amour submergera ce pays
Et nous ferra rêver debout dans l’étendue immense
Après avoir dédicacé ce poème sur l’autel dressé à la mémoire du compositeur BYUN Kyu-Baik, j’aimerais tant lui offrir cette nuit la dernière goutte de sang qui reste dans mon cœur. Comment pourrais-je oublier le jour où nous avions chanté pour le monde meilleur dont nous espérions tant la venue dans les années 1980.
Appréciation des fleurs
Quelle que soit la beauté d’une fleur
S’épanouissant au milieu des rochers,
Elle devient une prairie épandant son suave parfum dans mon cœur.
J’aurais tant aimé continuer à voir le sourire de cet être si cher, car il avait encore tant à accomplir.
Tel un dernier kaki bien mûr accroché au plaqueminier, malgré sa détermination à vivre, il nous a quitté, si facilement.
Le 6 décembre 2019 Jin Gwan, poète
대한민국 불교 찬불가가 일본어 찬불가집으로 출간되어 일본 불자들에게 전한 바 있다. 작곡가 변규백 선생의 찬불가2백여곡에서 가려뽑은 곡을 안정순 보살님이 번역하여 일어본 찬불가집을 우리출판사에서 출간했으며 일본에 보내게 되었다.
이 책에는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청산은 나늘 보고) 등이 있다.
옛날 일본에 조선이 처음으로 불교를 전했 듯 다시 찬불가를 전했으며 세계에 자비의 선율이 퍼지길 발원했던 작곡가 변규백 선생이 열반하셨다.
도반이었던 시인 진관 스님께서 작곡가 변규백 선생 영전에 바친 글을 소개한다
2019 Jin-Gwan, poète
진관 시가 있는 시론3. 80
변규백 작곡가가
세상을 떠났네
변규백 작곡가가 세상을 떠났네 변규백 작곡가를 만난 시기는 수유리에 있는 공초 시인의 무
덤에서 만났는데 공초시인을 추모하고 있는 구상시인과 동대문에 있는 비구니 스님 절에서 매년 행사를 하는데 수유리에 있는 공초 시인 무덤에 참여했다. 그 시기에 변규백 작곡가는 나와 친하게 지내게 지냈다.
구상 시인은 공초 시인을 위하여 1년에 한번을 수유리에 있는 무덤에서 시낭송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공간 사랑에서 1달에 한번 씩 시 낭송 회를 하여 시문학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함께 시낭송회를 하였던 시인들이 세상을 떠나고 시 낭송회도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 뒤에 변규백 작곡가를 중앙 승가대학에 찬불가를 가르치는 교수로 영입하여 찬불가를 스님들 학생들에게 가르쳐주었다
작곡가를 만난다는 것은 인연이 있어야 만나는데 변규백 작곡가를 떠나 보내는 마음은 바다를 해엄쳐 가는 배를 띄우고 아무도 없는 길을 가게 하는 몸이라고 생각해 보니 인생이란 참으로 무상하다는 생각이 든다. 무상한 인생살이를 그동안 살아난 것은 그에게 있어서는 새로운 길이라고 생각할 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제는 홀로 서있어야 하는 곳으로 가는 것을 막을 수가 없다.
세상이 무상하다고 해도 아니 인연이 이것이라고 해도 추운 겨울날에 세상을 떠나간 이유가 무엇인지 참으로 알 수 없는 인연이라고 이렇게 말해 보려고 하나 아무 말도 없이 떠난 간 작곡가 민중의 작곡가를 우리는 보내야 하네. 그곳에 가거든 공초 시인도 만나고 구상 시인도 만나고 박희진 시인도 만나고 걸래 중광도 만나고 자유자재하는 몸으로 만나는 변규백 작곡가는 행복을 누릴 것이다.
변규백 작곡가는 분단의 땅에 작곡가가 아니라 조선이 하나 되는 시대의 작곡가였다. 그리고 처절하게 고통당하고 있는 우리 시대의 영웅 같은 민중의 작곡가였음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일산에 살면서 민중을 위한 작곡을 하였는데 대한불교조계종 조계사 대웅전에서 불교인권위원회의 행사에 청하면 언제나 함께 동참해 주었고 대한민국의 노래 국가를 일본을 찬양하는 이들이 작곡을 했다고 울분을 토로해기도 했다.
변규백 작곡가는 이 승을 떠났지만 그가 남긴 그의 작곡의 혼은 살아서 분단의 땅위에 펄펄 날릴 것이라고 확신하면서 내 자신이 불교계에 높이 올라간 벼슬이 없기에 그에게 충분한 위로를 할 수 없음이 아쉽게 생각하면서 마음 속으로 그의 작곡에 대한 노래를 부르려고 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하지만 아쉽게 여기는 것은 오늘 날에는 90이 정년인데 73세에 간다는 것이 섭섭하게 생각하고 있다.
변규백 작곡가의 영전에 올림
바람이 불어오는 길목에 서서
삼각산을 무심히 바라보고 있으니
내 가슴에 남아있는 한 송이 꽃처럼
먼 산위에 걸려있는 반달같이
오늘 우리들에 마지막 사랑에 언어는
비오는 날 밤에 무지개처럼 솟아
백두산을 노래하는 그날을 위해
온 누리에 오직하나 남은 사랑
들판에 서서 꿈을 꾸게 하네.
이 같은 시를 변규백 작곡가의 영전에 헌시하고 오늘밤에 내 심장에 남아 있는 한 방울의피라고 그에게 던지고 싶네. 1980년대에 우리가 그토록 원하던 참 세상을 위해 노래 부르던 그날을 잊을 수 없네.
꽃에 대한 감상
아무리 아름다운 꽃이라고 해도
바위 속에 피어있는 꽃을 바라보면
마음에 향기가 넘치는 들판이여
그립고 안타까운 사람의 미소를
언제나 함께 있어주기를 바랬는데
아직도 해야 할 일이 있는데
마지막 남아 있는 감나무에 홍시처럼
그렇게 살아남아야 하는 결사의 정신을
그리도 쉽게 버리고 떠나간 사람
2019년 12월6일
진관 시인
진관스님께서 변규백아형의 열반을 세상에 알리고 유튜브까지 제작되어 주옥같은 찬불가는 물론 안치환이 부른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외
많은 명곡들이 남아 후세에 전하게 되었으니 향산거사님은 成佛
하셨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청산은 나를 보고' 등 불후의 찬불가를 통하여 자비의 선율을 일본은 물론 세계만방으로 퍼지기를 발원하셨던 생전의 큰 자비심이 실현되기를 간절히 기원해 봅니다
얼마 남지않은 歲暮 잘 마무리하시고 2020년 새해엔 좋은일만 가득하시길
축원합니다
임무상 合掌